>
| 3. 사도신경은 사도들의 신앙고백과 증언과 선포였습니다. | 이미순 | 2023-04-18 | |||
|
|||||
|
3. 사도신경은 사도들의 신앙고백과 증언과 선포였습니다.
‘사도신경’(라틴어, Symbolum Apostolicum을 영어로 번역 The apostles' creed라고 번역한 것)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주후 390년 암브로시우스의 글에서였고 교회가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주후 700년경 샤르망 대제(742~814)가 보급한 데서 시작된 것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예수님께서 부활승천하신 지 열흘 후에 성령에 충만한 사도들이 한 조목씩 작성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역사근거가 분명치 않으나, 사도신경의 근본내용은 사도들의 신앙고백과 같으므로 ‘사도신경’이라 부르는데 별 문제가 없었던 것입니다.
사도신경이 생기게 된 동기이유는 세례 베풀 때에 문답의 표준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세례를 받으려면 성서를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고 믿어야 하고 말로 표현하는 것이 있어야 세례를 줄 수 있는 것이기에 간결한 신앙간증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신앙교육을 위해 신구약성서의 중요한 것을 간결하게 요점만 정리한 것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이단을 분별하고 물리치기 위해서입니다. 이단은 성서말씀을 그대로 믿지 않고 자기생각과 사상을 집어넣어 그릇되게 믿게 하는 인간개인의 이기적인 주장을 합니다.
사도신경은 교회와 신자를 보호하고 이단을 분별하여 막고, 축출하는 표준입니다. 사도신경의 내용은 ‘예수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고백이므로 그 기원과 근원은 성서에 있고, 주로 신약성서에 두고 있습니다.
사도신경은 단순한 요약이 아닌 일정한 형식과 내용으로 표현되었고 4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교회의 외부로부터의 도전에 대한 변증적(직관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 분석연구) 성격을 가지며 2.일정한 때와 장소에서 형성되었고 3.구원의 교리에 대한 지적 이해를 돕기 위함이고 4.모든 교회에 통용될 보편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도신경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한 신앙고백입니다. 성서는 사람을 우상화시키고 형상을 우상화했을 때 회개하지 않으면 하나님께서는 심판(3가지-우상 섬김, 율법과 절기를 지키지 않음, 도덕적으로 죄 지음)으로 재앙을 내릴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러한 것에 영적 분별력을 위한 신앙고백과 증언과 선포한 내용이 사도신경입니다.
오늘도 하나님께 향한 신앙고백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임재와 능력을 경험하시기 바랍니다. 기도하고 기다리면 기적은 일어납니다. 그리고 기도가 길수록 더 좋게 됩니다. |
|||||
댓글 0